사진 출처 : 서울특별시, https://golmok.seoul.go.kr/introduce1.do
- 서울시 상권을 상권 유형, 성별, 연령, 시간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
- 서울시 상권 유동인구 분석
- 서울시 상권 매출 분석
- 서울시 상권 유동인구 & 매출 상관관계 분석
-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추정매출)_2019.csv
-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추정유동인구).csv
-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직장인구).csv
-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영역).csv
- 김성준 : 서울시 상권 유동인구 분석, 서울시 상권 유동인구 & 매출 상관관계 분석, README 작성, 발표 진행
- 김종찬 : 서울시 구별 매출 지도 시각화, 서울시 상권 매출 분석, ppt 작업
- 서울시와 KT가 공공빅데이터와 통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계한 서울의 특정지역, 특정시점에 존재하는 모든 인구
- 발달상권: 대로변과 대형 유통시설의 포함되는 범위
- 골목상권: 대로변이 아닌 거주지 인근의 좁은도로를 따라 형성
- 전통시장: 예전부터 있어 오던 시장을 백화점 따위의 물건 판매장소에 상대하여 칭함
- 관광특구: 외국인 관광객 수가 10만명(서울은 50만명)이상
# 서울시 유동인구 데이터 로드
pop = pd.read_csv("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추정유동인구).csv", encoding='euc-kr')
# 서울시 상권 코드 데이터 로드
reg = pd.read_csv("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영역).csv", encoding="euc-kr")
# 서울시 2019년도 유동인구 & 상권 코드 데이터 결합
join = pd.merge(pop, reg, on="상권_코드")
# 시군구 코드 데이터 로드
code = pd.read_csv("서울특별시 건축물대장 법정동 코드정보.csv", encoding='euc-kr')
code = code[["시군구코드", "시군구명"]].drop_duplicates('시군구코드', keep='first')
# 서울시 2019년도 유동인구 & 상권 코드 & 시군구 코드 데이터 결합
join2 = pd.merge(join, code, left_on="시군구_코드", right_on="시군구코드")
join2["구"] = [gu[:2] if len(gu)<=3 else gu[:3] for gu in join2['시군구명']]
#서울시 2019년도 유동인구 & 상권 코드 & 시군구 코드 & 직장인 인구수 데이터 결합
work = pd.read_csv("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직장인구).csv", encoding='euc-kr')
join3 = pd.merge(join2, work, on="상권_코드")
- 생각과는 다르게 주말에 상권 유동인구수가 적음
- 중구에서는 유동인구 대비 직장인 비율이 높아 주말 & 밤, 새벽 영업은 피하는 것이 좋아보임
- 1,20대 대상 영업는 마포구와 서대문구가 가장 적절해 보이지만 지역별 임대료 데이터가 있다면 임대료 대비 매출액을 비교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