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Commit
This commit does not belong to any branch on this repository, and may belong to a fork outside of the reposi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Showing
3 changed files
with
35 additions
and
0 deletions.
There are no files selected for viewing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Loading
Sorry, something went wrong. Reload?
Sorry, we cannot display this file.
Sorry, this file is invalid so it cannot be displayed.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Original file line number | Diff line number | Diff line change |
---|---|---|
@@ -0,0 +1,35 @@ | ||
###인증 사진 | ||
|
||
1.Bastion을 통해서 Private IP를 가진 EC2애 SSH 연결 | ||
![img1.png](img1.png) | ||
|
||
2.nginx 설치 | ||
![img2.png](img2.png) | ||
|
||
3.HTTP 웹페이지 영상 | ||
[Web link]() | ||
|
||
|
||
###과제를 해결한 방법 | ||
|
||
1.서로 다른 가용영역에 있는 퍼블릭 서브넷 2개를 생성한다.(퍼블릭 서브넷은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되어 있어야한다) | ||
2.dev EC2와 user EC2를 생성한다 | ||
3.대상 그룹을 생성하여 EC2를 등록한다. | ||
-dev는 web-dev대상 그룹에 | ||
-user은 web-user대상그룹에 | ||
4.dev와 user를 EC2에 연결하고 NGINX를 설치한다. | ||
sudo yum update -y # 업데이트 실시 | ||
sudo yum install nginx # yum을 이용한 Apache 설치 | ||
sudo systemctl start nginx # nginx 시작 | ||
sudo systemctl enable nginx # nginx 웹 서버가 시스템이 부팅할 때마다 시작되도록 함 | ||
sudo systemctl status nginx # 상태 확인 | ||
5.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 후 퍼블릭 호스팅 영역을 생성한다. | ||
-AWS Route53에서 할당받은 네임서버를 가비아>구입도메인>관리 탭에 넣어준다. | ||
6.ALB와 Route53이 연결되도록 레코드를 생성한다. | ||
-루트도메인에 대해 A레코드 생성 | ||
-서브도메인(www,dev)에 대해 A레코드 생성 | ||
7.alb 리스너 규칙 추가 | ||
-루트도메인(xohalox.com)과 서브도메인(www.xohlox.com)은 web-user대상그룹으로 | ||
-서브도메인(dev.xohalox.com)은 wev-dev대상 그룹으로 | ||
8.dev EC2와 userEC2의 /usr/share/nginx/html/index.html파일을 수정한다 | ||
-sudo nano /usr/share/nginx/html/index.html 명령어 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