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발생한 암묵적 전역은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반드시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한 다음 사용해야한다.
그러나, 오타나 문법 지식의 미비로 인한 실수는 발생하기 마련이므로, 잠재적인 오류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개발 환경을 만들고 그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이 좀 더 근본적이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ES5부터 strict mode 가 추가되었다.
ESLint 같은 린트 도구를 사용해도 strict mode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린트 도구 는 정적 분석 기능을 통해 소스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소스코드를 스캔하여 문법적 오류만이 아니라 잠재적 오류까지 찾아내고 오류의 원인을 리포팅해주는 유용한 도구다.
Strict mode를 적용하려면 전역의 선두 또는 함수 몸체의 선두에 **‘use strict’;**를 추가한다. 전역의 선두에 추가하면 스크립트 전체에 strict mode가 적용된다.
3. 전역에 strict mode를 적용하는 것은 피하자
전역에 적용한 것은 스크립트 단위로 적용된다. 그러나, non-strict mode 스크립트와 혼용하는 것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즉시 실행 함수로 스크립트 전체를 감싸서 스코프를 구분하고 즉시 실행 함수의 선두에 strict mode를 적용한다.
4. 함수 단위로 strict mode를 적용하는 것도 피하자
어떤 함수는 적용하고, 어떤 함수는 적용하지 않는 방식이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strict mode 는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싼 스크립트 단위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언하지 않는 변수를 참조하면 referrenceerror 가 발생한다.
Delete 연산자로 변수, 함수, 매개변수를 삭제하면 syntaxerror 가 발생한다.
중복된 매개변수 이름을 사용하면 syntaxerror 가 발생한다.
with문은 동일한 객체의 프로퍼티를 반복해서 사용할 때, 객체 이름을 생략할 수 있어서 코드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지만 성능과 가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with문을 사용하면 syntaxerror 가 발생한다.
Strict mode에서 함수를 일반 함수로서 호출하면 this에 undefined가 바인딩된다. 생성자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 내부에서는 this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Strict mode에서는 매개변수에 전달된 인수를 재할당하여 변경해도 arguments 객체에 반영되지 않는다.
You can’t perform that action at this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