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 (Instruction Count)
하드웨어가 실행해야 하는 instuction의 실제 수
같은 프로그램이라도 달라지며, ISA의 종류나 컴파일러의 역량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CPI (Cycle-per-Instruction)
Instruction의 수행 시간으로, instruction의 마다 다름 (일반연산, multiplication, floating)
High-level organization(Pipeline, Cache 등) 설계에 따라 여향을 받음
cct (Clock Cycle Time)
클럭 한 주기의 길이
Low-level circuit design에 가까운 영역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Instruction 하나가 하는 일이 작음
IC
증가
CPI*cct
감소
ISA가 단순하여 pipelining에 유리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상황에 따라 가장 compact 한 instruction 사용
가상으로 예를 들자면 CISC는 'multiply' instruction을 제공하지만 RISC는 여러 개의 add
instruction을 사용하여 컴파일
메모리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는 이점 → 현재에 와서는 공간에 대한 제약이 적기에 큰 의미 X
IC
감소, CPI*cct
증가
자주 쓰이는 곳에 투자를 해야 효과가 있음(make common case faster)을 의미
RISC의 전략과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 간단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instruction의 수행시간을 줄이자
✔️ MIPS instruction design
필드
의미
op
operation code (opcode)
rs
first source register number
rt
second source register number
rd
destination register number
shamt
shift amount (00000 for now)
funct
function code (extends opcode)
필드
의미
rs
base address
rt
destination or source register number
constant
-215 ~ 215 - 1
address
offset added to base address in rs
lw $t0 , 32 ($s2 )
sw $t0 , 16 ($s3 )
addi $s3 , $s3 , 4
beq $s1 , $s2 label // 이때 destination(target address)은 `PC + offset * 4` 가 된다
J-format
Jump instruction에 사용
Target address = address * 4
Boundary: 256MB(228 ) → Code segment의 최대 크기
Operand Types
Word: 32bits
Halfword: 16bits
Byte: 8bits
Procedure 실행을 위한 작업 순서
Parameter 값을 레지스터에 저장 ($a0 - $a3
)
실행을 위해 PC 변경 (jump and link)
필요 자원 획득
작업 수행
결과를 저장하여 calling procedure (호출자)가 그 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함 ($v0 - $v1
)
Caller로 돌아가기 위해 PC 변경 (jump register - $ra
)
Caller saving & Caller saving
레지스터에 있는 caller 데이터를 지워야 할 수도 있다.
Caller saving
Procedure 호출 전에 caller가 저장해두는 것
⚠️ Callee에서 쓰지도 않는데 저장한다면 비 효율적
Callee saving
이미 사용 중인 레지스터라면 callee가 저장 후 해당 레지스터 재사용
⚠️ 꼭 저장해야 할 레지스터인지 알 수 없음
MIPS의 정책 → Saved registers($s
)와 Temporary registers($t
)의 분리
Instruction 간략한 분류
메모리 참조: lw
, sw
산술논리(Arithmetic-logical): add
, sub
, and
, or
, slt
컨트롤 플로우: beq
, j
3가지 반복되는 단계
Instruction Fetch (IF ): PC ← PC + 4
Instruction Decode (ID ): Instruction을 어떻게 수행할 지 결정
Instruction Execute (EX ): Instruction 수행
ALU를 이용하여 연산
수식 계산
load/store를 위한 메모리 주소 계산
Pipelining을 이용하면 최대 stage 수 배 만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5 Stages
IF (Instruction Fetch)
ID (Instruction Decode)
EX (Execute / Address caculation)
MEM(Memory Access)
WB(Write Back)
Hazards
Structural hazards : 리소스가 바쁜 경우
Instruction 메모리와 data memory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는 경우
lF stage의 Instruction memory와 MEM stage의 Data memory
Data hazard : 데이터 read/write로 인해 이전 instruction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경우
ALU Data Hazard
Lose two cycles (2개 버블 inject 필요)
해결책: 뒤 2개 연산에 대해 ALU 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포워딩(forwarding)
WB stage에서 EX stage로 (2개 뒤의 instruction)
MEM stage에서 EX stage로 (바로 뒤의 instruction)
→ Cycle lose ❌
Load-Use Data Hazard
2개 뒤의 instruction의 경우 WB stage에서 EX stage로 forwarding 가능
⚠️ 바로 뒤의 instruction은 forwarding 불가 (1개 cycle stall 항상 필요)
Control hazard (Branch Hazards): 이전 instruction의 결과가 flow of control을 결정
branch outcome은 MEM stage에서야 나옴
해결책: Branch prediction
bit comparision을 이용해서 더 앞 스테이지에서 빠르게 체크 (ID stage)
이 때 바로 앞의 instruction이 Load 라면 2개 cycle stall 이 필요하다
WB stage에서 ID stage로 forwarding (WB-EX-MEM-WB)
Cache write의 2가지 방법
write-through
캐시 및 메모리에 동시에 씀
단점: 수행 시간이 긺
write-back
캐시만 수정하고 메모리는 수정하지 않음 (이후 캐시 삭제 등의 상황에서 메모리에 write)
단점: 구현이 복잡함 (shared-bus multiprocessor system?)
Direct Map Cache
Cache주소는 Tag
, Index
, Offset
으로 구성
Direct Map Cache: 같은 index를 가진 주소끼리 하나의 block을 가르킴
주소마다 캐시 메모리 내 있을 수 있는 장소 고정
⚠️ 같은 index를 가지는 주소가 인접하여 access될 때 cache miss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Cache size가 28 이고 block size가 24 라면 총 Index의 길이: 4 (28 / 24 = 24 ), block 수 16개
Two-Way Set-Associative Cache
Cache를 2개 set으로 쪼개어 같은 index를 가진 주소가 2 군데의 block에 위치할 수 있는 구조
Cache size가 28 이고 block size가 24 라면 총 Index의 길이: 3 (28 / 2 / 24 = 23 ), set별 block 수 8개
Fully-Associative Cache
Index
필드가 사라지며, offset
을 제외한 나머지 주소가 모두 tag
가 됨
⚠️ Hit rate가 높아지지만 하드웨어 설계가 더 복잡해짐
12bits address, cache size 28 , block size 24 이면 16-way가 fully-associative
빠른 저장장치일수록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cache 용량에는 현실적 제한이 있음 (speed-cost tradeoff)
L1
, L2
, L3
로 단계를 나누어 캐시 구성
Average access time 비교
1-level: hit time + miss rage * miss penalty
2-level: L1 hit time + L1 miss rate * (L2 hit time + L2 miss rate * L2 miss penalty)
한양대학교 컴퓨터구조 수업 강의자료, 이인환 교수 (ELE3019)
교재 - Computer Organization and Design: The Hardware and Software Interface 5/e, Patterson and Hennes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