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899 lines (691 loc) · 34.3 KB

UseEffect.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899 lines (691 loc) · 34.3 KB

useEffect 완벽 가이드 요약본

해당 글은 밑의 링크의 사이트를 요약한 글입니다.
[번역] useEffect 완벽 가이드

모든 랜더링은 고유의 prop과 state가 있다

// 처음 랜더링 시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 0; // useState() 로부터 리턴
  // ...
  <p>You clicked {count} times</p>;
  // ...
}
// 클릭하면 함수가 다시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 1; // useState() 로부터 리턴
  // ...
  <p>You clicked {count} times</p>;
  // ...
}
// 또 한번 클릭하면, 다시 함수가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 2; // useState() 로부터 리턴
  // ...
  <p>You clicked {count} times</p>;
  // ...
}

state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리액트는 컴포넌트를 호출합니다.

매 렌더 결과물은 고유의 counter 상태값을 “살펴봅니다.” 이 값을 함수 안에 상수로 존재합니다.

setCount 를 호출할 때, 리액트는 다른 count 값과 함께 컴포넌트를 다시 호출합니다. 그러면 리액트는 가장 최신의 랜더링 결과물과 일치하도록 DOM을 업데이트 합니다.

명심하셔야 할 점은 여느 특정 랜더링 시 그 안에 있는 count 상수는 시간이 지난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컴포넌트가 다시 호출되고, 각각의 랜더링마다 격리된 고유의 count 값을 “보는” 것입니다.

🔥 우리의 함수는 여러번 호출되지만(랜더링마다 한 번씩), 각각의 랜더링에서 함수 안의 count 값은 상수이자 독립적인 값(특정 랜더링 시의 상태)으로 존재합니다.

모든 랜더링은 고유의 이벤트 핸들러를 가진다

// 처음 랜더링 시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 0; // useState() 로부터 리턴
  // ...
  function handleAlertClick() {
    setTimeout(() => {
      alert("You clicked on: " + count);
    }, 3000);
  }
  // ...
}
// 클릭하면 함수가 다시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 1; // useState() 로부터 리턴
  // ...
  function handleAlertClick() {
    setTimeout(() => {
      alert("You clicked on: " + count);
    }, 3000);
  }
  // ...
}
// 또 한번 클릭하면, 다시 함수가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 2; // useState() 로부터 리턴
  // ...
  function handleAlertClick() {
    setTimeout(() => {
      alert("You clicked on: " + count);
    }, 3000);
  }
  // ...
}
// 처음 랜더링 시
function Counter() {
  // ...
  function handleAlertClick() {
    setTimeout(() => {
      alert("You clicked on: " + 0);
    }, 3000);
  }
  // ...
  <button onClick={handleAlertClick} />; // 0이 안에 들어있음
  // ...
}
// 클릭하면 함수가 다시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 ...
  function handleAlertClick() {
    setTimeout(() => {
      alert("You clicked on: " + 1);
    }, 3000);
  }
  // ...
  <button onClick={handleAlertClick} />; // 1이 안에 들어있음
  // ...
}
// 또 한번 클릭하면, 다시 함수가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 ...
  function handleAlertClick() {
    setTimeout(() => {
      alert("You clicked on: " + 2);
    }, 3000);
  }
  // ...
  <button onClick={handleAlertClick} />; // 2가 안에 들어있음
  // ...
}

→ 각각의 랜더링은 고유한 “버전”의 handleAlertClick 을 리턴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버전은 고유의 count 를 “기억합니다”.

→ 이벤트 핸들러가 특정 랜더링에 “속해 있으며”, 얼럿 표시 버튼을 클릭할 때 해당 랜더링 시점의 counter state를 유지한채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모든 랜더링은 고유의 이펙트를 가진다

우리는 이미 count 는 특정 컴포넌트 랜더링에 포함되는 상수라고 배웠습니다. 이벤트 핸들러는 그 랜더링에 “속한” count 상태를 “봅니다”. count 는 특정 범위 안에 속하는 변수이기 때문입니다. 이펙트에도 똑같은 개념이 적용됩니다!

“변화하지 않는” 이펙트 안에서 count 변수가 임의로 바뀐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펙트 함수 자체가 매 랜더링마다 별도로 존재합니다.

각각의 이펙트 버전은 매번 랜더링에 “속한” count 값을 “봅니다”.

// 최초 랜더링 시
function Counter() {
  // ...
  useEffect(
    // 첫 번째 랜더링의 이펙트 함수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0} times`;
    }
  );
  // ...
}
// 클릭하면 함수가 다시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 ...
  useEffect(
    // 두 번째 랜더링의 이펙트 함수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1} times`;
    }
  );
  // ...
}
// 또 한번 클릭하면, 다시 함수가 호출된다
function Counter() {
  // ...
  useEffect(
    // 세 번째 랜더링의 이펙트 함수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2} times`;
    }
  );
  // ..
}

<랜더링 과정>

  1. 첫번째 렌더링
    • 리액트: state가 0 일 때의 UI를 보여줘.
    • 컴포넌트
      • 여기 랜더링 결과물로 <p>You clicked 0 times</p> 가 있어.
      • 그리고 모든 처리가 끝나고 이 이펙트를 실행하는 것을 잊지 마: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0 times' }.
    • 리액트: 좋아. UI를 업데이트 하겠어. 이봐 브라우저, 나 DOM에 뭘 좀 추가하려고 해.
    • 브라우저: 좋아, 화면에 그려줄게.
    • 리액트: 좋아 이제 컴포넌트 네가 준 이펙트를 실행할거야.
      •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0 times' } 를 실행하는 중.
  2. 버튼 클릭 시
    • 컴포넌트: 이봐 리액트, 내 상태를 1 로 변경해줘.
    • 리액트: 상태가 1 일때의 UI를 줘.
    • 컴포넌트
      • 여기 랜더링 결과물로 <p>You clicked 1 times</p> 가 있어.
      • 그리고 모든 처리가 끝나고 이 이펙트를 실행하는 것을 잊지 마: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1 times' }.
    • 리액트: 좋아. UI를 업데이트 하겠어. 이봐 브라우저, 나 DOM에 뭘 좀 추가하려고 해.
    • 브라우저: 좋아, 화면에 그려줄게.
    • 리액트: 좋아 이제 컴포넌트 네가 준 이펙트를 실행할거야.
      • () => { document.title = 'You clicked 1 times' } 를 실행하는 중.

모든 랜더링은 고유의 …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setTimeout(() => {
      console.log(`You clicked ${count} times`);
    }, 3000);
  });
  return (
    <div>
      <p>You clicked {count} times</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
        Click me
      </button>
    </div>
  );

P: 해당 코드에서 약간 뜸을 들이며 버튼을 여러번 누른다면?

Q: 순서대로 1, 2, 3, 4, 5 나옴!

왜냐하면, 각각의 타이머는 특정 랜더링에 속하기 때문에 그 시점의 count 값을 갖기 때문에

➕ 플러스 알파 정보

원래 클래스 컴포넌트로 만들면 이렇게 작동하지 않음

componentDidUpdate() {
  setTimeout(() => {
     console.log(`You clicked ${this.state.count} times`);
  }, 3000);
}

→ 특정 랜더링 시점의 값이 아니라 언제나 최신의 값을 가리키게 됨

→ 매번 5가 찍혀있는 로그를 발견할 수 있음

훅은 클로저에 의존하고 있는데, 클로저는 접근하려는 값이 절대 바뀌지 않을 때 유용함. 반드시 상수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생각을 하기 쉽도록 만들어줌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기

🔥 컴포넌트의 랜더링 안에 있는 모든 함수는 (이벤트 핸들러, 이펙트, 타임아웃이나 그 안에서 호출되는 API 등) 랜더(render)가 호출될 때 정의된 props와 state 값을 잡아둔다.

  • ➕ 물론 때때때로 이펙트 안에 정의해둔 콜백에서 사전에 잡아둔 값이 아니라 최신의 값을 이용하고 싶을 때가 있음 그럴 때는 ref 사용하면 됨!
    function Example()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latestCount = useRef(count);
      useEffect(() => {
        // 변경 가능한 값을 최신으로 설정한다
        latestCount.current = count;
        setTimeout(() => {
          // 변경 가능한 최신의 값을 읽어 들인다
          console.log(`You clicked ${latestCount.current} times`);
        }, 3000);
      });
    잘못되지는 않았지만 “덜 깨끗”해보일 수는 있음! ⇒ this.state가 사용하는 방식이 위와 같은 방식임

그러면 클린업은 뭐지?

어떤 이펙트는 클린업 단계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클린업의 목적은 구독과 같은 이펙트를 “되돌리는” 것입니다.

useEffect(() => {
  ChatAPI.subscribeToFriendStatus(props.id, handleStatusChange);
  return () => {
    ChatAPI.unsubscribeFromFriendStatus(props.id, handleStatusChange);
  };
});

첫 번째 랜더링에서 prop 이 {id: 10} 이고, 두 번째 랜더링에서 {id: 20} 이라고 해 봅시다. 아마도 아래와 같은 흐름대로 흘러가리라 생각하실겁니다.

  • 리액트가 {id: 10} 을 다루는 이펙트를 클린업한다.
  • 리액트가 {id: 20} 을 가지고 UI를 랜더링한다.
  • 리액트가 {id: 20} 으로 이펙트를 실행한다.

(실제는 조금 다릅니다)

위의 멘탈 모델대로라면, 클린업이 리랜더링 되기 전에 실행되고 이전의 prop을 “보고”, 그 다음 새 이펙트가 리랜더링 이후 실행되기 때문에 새 prop을 “본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멘탈 모델은 클래스의 라이프사이클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과 같고, 여기서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왜 그런지 알아봅시다.

리액트는 브라우저가 페인트 하고 난 뒤에야 이펙트를 실행합니다. 이렇게 하여 대부분의 이펙트가 스크린 업데이트를 가로막지 않기 때문에 앱을 빠르게 만들어줍니다. 마찬가지로 이펙트의 클린업도 미뤄집니다. 이전 이펙트는 새 prop과 함께 리랜더링 되고 난 뒤에 클린업됩니다.

  • 리액트가 {id: 20} 을 가지고 UI를 랜더링한다.
  • 브라우저가 실제 그리기를 한다. 화면 상에서 {id: 20} 이 반영된 UI를 볼 수 있다.
  • 리액트는 {id: 10} 에 대한 이펙트를 클린업한다.
  • 리액트가 {id: 20} 에 대한 이펙트를 실행한다.

이상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prop이 {id: 20} 으로 바뀌고 나서도 이전 이펙트의 클린업이 여전히 예전 값인 {id: 10} 을 “보는” 걸까요?

이제 답이 명확해졌네요! 어찌되었건 이펙트의 클린업은 “최신” prop을 읽지 않습니다. 클린업이 정의된 시점의 랜더링에 있던 값을 읽는 것입니다.

// 첫 번째 랜더링, props는 {id: 10}
function Example() {
  // ...
  useEffect(
    // 첫 번째 랜더링의 이펙트
    () => {
      ChatAPI.subscribeToFriendStatus(10, handleStatusChange);
      // 첫 번째 랜더링의 클린업
      return () => {
        ChatAPI.unsubscribeFromFriendStatus(10, handleStatusChange);
      };
    }
  );
  // ...
}
// 다음 랜더링, props는 {id: 20}
function Example() {
  // ...
  useEffect(
    // 두 번째 랜더링의 이펙트
    () => {
      ChatAPI.subscribeToFriendStatus(20, handleStatusChange);
      // 두 번째 랜더링의 클린업
      return () => {
        ChatAPI.unsubscribeFromFriendStatus(20, handleStatusChange);
      };
    }
  );
  // ...
}

→ 첫 번째 랜더링의 클린업이 바라보는 값을 {id: 10} 이외의 것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이렇게 리액트는 페인팅 이후 이펙트를 다루는게 기본이며 그 결과 앱을 빠르게 만들어 줍니다. 이전 props는 우리의 코드가 원한다면 남아 있습니다.****

라이프사이클이 아니라 동기화

🔥 모든 것은 목적지에 달렸지 여정에 달린게 아니다.

**리액트는 우리가 지정한 props와 state에 따라 DOM과 동기화합니다.**랜더링 시 “마운트” 와 “업데이트” 의 구분이 없습니다.

useEffect 는 리액트 트리 바깥에 있는 것들을 props와 state에 따라 동기화 할 수 있게 합니다.

function Greeting({ name }) {
  useEffect(() => {
    document.title = "Hello, " + name;
  });
  return <h1 className="Greeting">Hello, {name}</h1>;
}

만약 컴포넌트가 첫 번째로 랜더링할 때와 그 후에 다르게 동작하는 이펙트를 작성하려고 하신다면, 흐름을 거스르는 것입니다! 랜더링 결과물이 “목적지” 에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여정” 에 따른다면 동기화에 실패합니다.

컴포넌트를 prop A, B, C 순서로 랜더링하던지, 바로 C로 랜더링하던지 별로 신경쓰이지 않아야 합니다. 잠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예: 데이터를 불러올 때), 결국 마지막 결과물은 같아야 합니다.

당연하지만 여전히 모든 이펙트를 매번 랜더링마다 실행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무한루프를 일으킬 수 있지요.)

리액트에게 이펙트를 비교하는 법을 가르치기

React에서 매번의 리랜더링마다 DOM 전체를 새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바뀐 부분만 DOM을 업데이트합니다.

예를 들어서,

#1

<h1 className="Greeting">Hello, Dan</h1>

#2

<h1 className="Greeting">Hello, Yuzhi</h1>

#1#2로 바꾼다면,

리액트는 두 객체를 비교합니다.

const oldProps = { className: "Greeting", children: "Hello, Dan" };
const newProps = { className: "Greeting", children: "Hello, Yuzhi" };

children은 바뀌어서 DOM 업데이트가 필요하지만, className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코드만 호출됩니다.

domNode.innerText = "Hello, Yuzhi";
// domNode.className 은 건드릴 필요가 없다

위와 같은 방식을 effect에 적용시킨다면? effect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면 다시 실행시키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function Greeting({ name }) {
  cons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0);
  useEffect(() => {
    document.title = "Hello, " + name;
  });
  return (
    <h1 className="Greeting">
      Hello, {name}
      <button onClick={() => setCounter(count + 1)}>Increment</button>
    </h1>
  );
}

해당 effect에서는 counter의 상태값을 사용하지 않는데 document.title을 카운터 값이 바뀔 때마다 재할당하는 것은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let oldEffect = () => {
  document.title = "Hello, Dan";
};
let newEffect = () => {
  document.title = "Hello, Dan";
};
// 리액트가 이 배열을 같은 배열이라고 인식할 수 있을까?

리액트가 DOM간 비교를 했던 것처럼 effect도 비교를 하면?

→ 불가능합니다.. 함수를 호출하기 전까지는 함수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ependecy 배열을 사용합니다!!

useEffect(() => {
  document.title = "Hello, " + name;
}, [name]); // 우리의 의존성

이건 마치 우리가 리액트에게 “이봐, 네가 이 함수의 안을 볼 수 없는 것을 알고 있지만, 랜더링 스코프에서 name 외의 값은 쓰지 않는다고 약속할게.” 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const oldEffect = () => {
  document.title = "Hello, Dan";
};
const oldDeps = ["Dan"];
const newEffect = () => {
  document.title = "Hello, Dan";
};
const newDeps = ["Dan"];
// 리액트는 함수 안을 살펴볼 수 없지만, deps를 비교할 수 있다.
// 모든 deps가 같으므로, 새 이펙트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랜더링 사이에 의존성 배열 안에 있는 값이 하나라도 다르다면 이펙트를 스킵할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을 동기화해야죠!****

리액트에게 의존성으로 거짓말하지 마라

deps를 지정한다면, 컴포넌트에 있는 모든 값 중 그 이펙트에 사용될 값은 반드시 거기 있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props, state, 함수들 등 컴포넌트 안에 있는 모든 것 말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불러오는 로직이 무한 루프에 빠질 수도 있고

소켓이 너무 자주 반응할 수 도 있습니다..

의존성으로 거짓말을 하면 생기는 일

만약 deps가 이펙트에 사용하는 모든 값을 가지고 있다면, 리액트는 언제 다시 이펙트를 실행해야 할 지 알고 있습니다.

→ 의존성을 비교함

#1.

예를 들어서, [name]이라는 의존성 배열을 넣어두면

첫번째 렌더 때는 의존성 배열의 값이 [’stella’]일 것이고

두번째 렌더 떄 값이 바뀌었다면, [’chan’]일 것이다.

값이 바뀌었기 때문에 effect를 실행할 것이다.

#2.

하지만 의존성 배열이 []이었다면

첫번째 렌더 때 []이고

두번쨰 렌더 때도 []일테니까

effect를 실행하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예시,

예를 들어 매 초마다 숫자가 올라가는 카운터를 작성한다고 해 보겠습니다. 클래스 컴포넌트의 개념을 적용했을 때 우리의 직관은 “인터벌을 한 번만 설정하고, 한 번만 제거하자” 가 됩니다.

라는 생각으로 코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ount + 1);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
  return <h1>{count}</h1>;
}

결과: 숫자가 오로지 한 번만 증가합니다.

왜?: count를 사용하지만 의존성 배열을 []이라고 정의하면서 거짓말을 했습니다!

⇒ 첫번째 랜더링에서 count는 0입니다. 첫 번째 랜더링의 effect에서 setCount(0+1)이라는 뜻이 됩니다. 하지만, 의존성 배열을 []이라고 했기 때문에 effect를 다시 실행하지 않고, 결국 그로 인해 매초마다 setCOunt(0+1)을 호출하는 것입니다.

⇒ 의존성이 같으므로 setCount(1+1)을 스킵해버림!!!

의존성을 솔직하게 적는 2가지 방법

첫번째 방법 실행 후 안되면 두번째 방법 사용!

  1. 컴포넌트 안에 있으면서 effect에 사용되는 모든 값이 의존성 배열 안에 포함되도록!

    • 위의 코드를 이렇게 고치면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ount + 1);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count]);
      의존성 배열이 올바르게 만들어졌음! 하지만,, count 값이 바뀔 때마다 인터벌은 해제되고 다시 설정될 것임
  2. effect의 코드를 바꿔서 우리가 원하던 것보다 자주 바뀌는 값을 요구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

    → 의존성에 대해서 거짓말하지 말고 의존성을 더 적게 넘겨주면 됨!

    • 우리가 무엇 때믄에 count를 쓰고 있나요? ⇒ 오로지 setCount만을 위해서 사용중입니다 그렇다면 함수 형태의 업데이터를 사용한다면? 필요가 없어집니다! setCount(c => c+1)
    • 잘못된 의존관계
    • 이제 effect가 한 번만 실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첫 번째 랜더링에 포함되는 인터벌 콜백은 인터벌이 실행될 때마다 c ⇒ c + 1이라는 업데이트 지침을 전달하니까 count의 상태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리액트가 이미 알고 있으니까요

함수형 업데이트와 구글 닥스

동기화에 대해 생각할 때 흥미로운 부분은 종종 시스템간의 “메세지”를 상태와 엮이지 않은 채로 유지하고 싶을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구글 닥스에서 문서를 편집하는 것은 실제로 서버로 전체 페이지를 보내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굉장히 비효율적이겠죠. 그 대신 사용자가 무엇을 하고자 했는지 표현한 것을 보냅니다.

🔥 오로지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를 이펙트 안에서 컴포넌트로 전달하는게 최적화에 도움이 됩니다.

현재의 카운트 값에 “오염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저 행위(“증가”)를 표현할 뿐입니다. 리액트로 생각하기 문서에 최소한의 상태를 찾으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문서에 쓰인 것과 같은 원칙이지만 업데이트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세요.

여러 소스에서 이루어지는 업데이트가 (이벤트 핸들러, 이펙트 구독 등)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모여서 정확히 적용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setCount(c ⇒ c + 1)도 그렇게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서로에게 의존하는 두 상태 값이 있거나 props 기반으로 다음 상태를 계산할 필요가 있을 때 도움이 안됩니다.

그럴 때 사용할 만한 것이 useReducer입니다.

액션을 업데이트로부터 분리하기

두 가지 상태 변수를 사용하는 예제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step, setStep] = useState(1);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setCount((c) => c + step);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step]);
  return (
    <>
      <h1>{count}</h1>
      <input value={step} onChange={(e) => setStep(Number(e.target.value))} />
    </>
  );
}

step을 effect 안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dependency 배열에 추가해뒀습니다.

step이 변경되면 인터벌을 다시 시작합니다.

🔥 effect를 분해하고 새로 설정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고, 특별히 좋은 이유가 있지 않다면 분해하는 것을 피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지만

step이 바뀐다고 인터벌 시계가 초기화되지 않도록 하고 싶다면? effect의 dependency 배열에서 step을 제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두 상태 변수 모두 useReducer로 교체해야할 수 있습니다.

useReducer는 컴포넌트에서 일어나는 “액션”의 표현과 그 반응으로 상태가 어떻게 업데이트되어야 할지를 분리합니다.

예를 들어서, 위의 코드를 effect 안에서 의존성을 dispatch로 바꿔보겠습니다.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State);
const { count, step } = state;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dispatch({ type: "tick" }); // setCount(c => c + step) 대신에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dispatch]);

리액트는 컴포넌트가 유지되는 한 dispatch 함수가 항상 같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위의 예제에서 인터벌을 다시 구독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리액트가 dispatchsetStateuseRef 컨테이너 값이 항상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보장하니까 의존성 배열에서 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명시한다고 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effect 안에서 상태를 읽는 대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액션을 디스패치합니다. 이렇게 하여 effectsms step 상태로부터 분리됩니다.

effect는 어떻게 상태를 업데이트 <<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려줍니다. 그리고 리듀서가 업데이트 로직을 모아둡니다.

<리듀서>

const initialState = {
  count: 0,
  step: 1,
};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const { count, step } = state;
  if (action.type === "tick") {
    return { count: count + step, step };
  } else if (action.type === "step") {
    return { count, step: action.step };
  } else {
    throw new Error();
  }
}

왜 useReducer가 Hooks의 치트 모드인가

다음 상태를 계산하는데 props가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API가 <Count step={1} /> 인거죠.

⇒ 해결법:

  1. 의존성으로 props.state 사용

  2. 리듀서 그 자체를 컴포넌트 안에 정의하여 props를 읽도록 하면 됨

    function Counter({ step }) {
      const [count, dispatch] = useReducer(reducer, 0);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if (action.type === "tick") {
          return state + step;
        } else {
          throw new Error();
        }
      }
      useEffect(() => {
        const id = setInterval(() => {
          dispatch({ type: "tick" });
        }, 1000);
        return () => clearInterval(id);
      }, [dispatch]);
      return <h1>{count}</h1>;
    }

    🚧 주의 🚧 이 패턴은 몇 가지 최정화를 무효화합니다. 어디서나 쓰진 마세요!!

    다른 랜더링에 포함된 이펙트 안에서 호출된 리듀서가 props를 알고 있지? 답은 dispatch에 있습니다.

    리액트는 그저 액션을 기억해놓습니다. 하지만 다음 랜더링 중에 리듀서를 호출할 것입니다. 이 시점에서 새 props가 스코프 안으로 들어오고 effect 내부와는 상관이 없어집니다.

    🔥 **useReducer 를 Hooks의 “치트 모드”** 업데이트 로직과 그로 인해 무엇이 일어나는지 서술하는 것을 분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그 다음은 이펙트의 불필요한 의존성을 제거하여 필요할 때보다 더 자주 실행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함수를 이펙트 안으로 옮기기

🔥 함수는 의존성에 포함되면 안됩니다. 간단히 로컬 함수를 의존성에서 제외하는 해결책은 컴포넌트가 커지면서 모든 경우를 다루고 있는지 보장하기 아주 힘들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function SearchResults() {
  const [query, setQuery] = useState("react");
  // 이 함수가 길다고 상상해 봅시다
  function getFetchUrl()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 이 함수가 길다고 상상해 봅시다
  async function fetchData() {
    const result = await axios(getFetchUrl());
    setData(result.data);
  }
  useEffect(() => {
    fetchData();
  }, []);
  // ...
}

이런 함수를 사용하는 어떤 effect에서 deps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깜빡했다면 effect는 proprhk state의 변화에 동기화하는데 실패할 것입니다.

해결법:

어떠한 함수를 이펙트 안에서만 쓰다면, 그 함수를 직접 effect 안으로 옮기세요!!

function SearchResults() {
  // ...
  useEffect(() => {
    // 아까의 함수들을 안으로 옮겼어요!
    function getFetchUrl()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react";
    }
    async function fetchData() {
      const result = await axios(getFetchUrl());
      setData(result.data);
    }
    fetchData();
  }, []); // ✅ Deps는 OK
  // ...
}

옮겨지는 의존성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의존성 배열은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effect 안에서 컴포넌트의 범위 바깥에 있는 어떤 것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깥에 있는 state를 써야한다면, effect 안에 있는 함수만 고치고 의존성으로 추가해주면 됩니다.

function SearchResults() {
  const [query, setQuery] = useState("react");
  useEffect(() => {
    function getFetchUrl()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async function fetchData() {
      const result = await axios(getFetchUrl());
      setData(result.data);
    }
    fetchData();
  }, [query]); // ✅ Deps는 OK
  // ...
}

하지만 이 함수를 이펙트 안에 넣을 수 없어요

예를 들어, 한 컴포넌트에서 여러 개의 이펙트가 있는데 같은 함수를 호출할 때, 로직을 복붙하고 싶진 않겠죠. 아니면 prop 때문에.

🔥 흔한 오해 중 하나가 “함수는 절대 바뀌지 않는다” 입니다. 하지만 이 글을 통해 배웠듯, 그 말이 진실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사실은, 컴포넌트 안에 정의된 함수는 매 랜더링마다 바뀝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두 effect가 getFetchUrl을 호출한다고 하면,

function SearchResults() {
  function getFetchUrl(query)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react");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 // 🔴 빠진 dep: getFetchUrl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redux");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 // 🔴 빠진 dep: getFetchUrl
  // ...
}

getFetchUrl을 각각의 effect 안으로 옮기게 되면 로직을 공유할 수 없으니까 안 좋음

해결책

  1. 👿 안 좋은 방법

    getFetchUrl을 의존성 배열에서 빼버리는 것

    ⇒ 언제 effect에 의해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데이터 흐름에 변화를 더해야할지 알아차리기 어려움

  2. 😇 괜찮은 방법

    1. 함수가 컴포넌트 스코프 안의 어떠한 것도 사용하지 않는다면, 컴포넌트 외부로 끌어올려두고 이펙트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면 됩니다.

    but.. 이펙트는 단순하게 만드는게 좋고 그 안에 콜백은 두는 것은 좋지 않음 ㅠ

    // ✅ 데이터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function getFetchUrl(query)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function SearchResults() {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react");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 // ✅ Deps는 OK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redux");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 // ✅ Deps는 OK
      // ...
    }
    1. useCallback 사용

      function SearchResults() {
        // ✅ 여기 정의된 deps가 같다면 항등성을 유지한다
        const getFetchUrl = useCallback((query) =>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 // ✅ 콜백의 deps는 OK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react");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getFetchUrl]); // ✅ 이펙트의 deps는 OK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redux");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getFetchUrl]); // ✅ 이펙트의 deps는 OK
        // ...
      }

      useCallback:

      의존성 체크에 레이어를 하나 더 더하는 것입니다.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해결하는데, 함수의 의존성을 피하기보다 함수 자체가 필요할 때만 바뀔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예시1: 함수를 다른 effect에서 불러오기

    getFetchUrl을 사용하는 어떤 effect라도 query가 바뀔 때마다 다시 실행될 것입니다.

    useCallback 덕분에 query 가 같다면, getFetchUrl 또한 같을 것이며, 이펙트는 다시 실행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query 가 바뀐다면, getFetchUrl 또한 바뀌며, 데이터를 다시 페칭할 것입니다.

    function SearchResults() {
      const [query, setQuery] = useState("react");
      // ✅ query가 바뀔 때까지 항등성을 유지한다
      const getFetchUrl = useCallback(() => {
        return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query]); // ✅ 콜백 deps는 OK
      useEffect(() => {
        const url = getFetchUrl();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무언가를 한다 ...
      }, [getFetchUrl]); // ✅ 이펙트의 deps는 OK
      // ...
    }

    예시2: 부모로부터 함수 prop을 내려보내는 경우

    function Parent() {
      const [query, setQuery] = useState("react");
      // ✅ query가 바뀔 때까지 항등성을 유지한다
      const fetchData = useCallback(() => {
        const url = "https://hn.algolia.com/api/v1/search?query=" + query;
        // ... 데이터를 불러와서 리턴한다 ...
      }, [query]); // ✅ 콜백 deps는 OK
      return <Child fetchData={fetchData} />;
    }
    function Child({ fetchData }) {
      let [data, setData] = useState(null);
      useEffect(() => {
        fetchData().then(setData);
      }, [fetchData]); // ✅ 이펙트 deps는 OK
      // ...
    }

    fetchData 는 오로지 Parent 의 query 상태가 바뀔 때만 변하기 때문에, Child 컴포넌트는 앱에 꼭 필요할 때가 아니라면 데이터를 다시 페칭하지 않을 것입니다.****

함수도 데이터 흐름의 일부인가?

🔥 useCallback 을 사용하면, 함수는 명백하게 데이터 흐름에 포함됩니다. 만약 함수의 입력값이 바뀌면 함수 자체가 바뀌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같은 함수로 남아있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useMemo 또한 복잡한 객체에 대해 같은 방식의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function ColorPicker() {
  // color가 진짜로 바뀌지 않는 한
  // Child의 얕은 props 비교를 깨트리지 않는다
  const [color, setColor] = useState("pink");
  const style = useMemo(() => ({ color }), [color]);
  return <Child style={styl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