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는 기본적으로 HikariCP를 내장된 커넥션 풀로 지원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 환경에서 HikariCP의 설정을 최적화하여 TPS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pring Boot에서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통해 HikariCP 설정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을 적용하였습니다.
spring:
datasource:
hikari:
minimum-idle: 10
maximum-pool-size: 10
idle-timeout: 30000
connection-timeout: 20000
- minimum-idle: 최소 유휴 커넥션 수입니다. 초기 설정 시 최소한의 커넥션(여기서는 10개)만 유지하여, TPS가 낮을 때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maximum-pool-size: 커넥션 풀의 최대 크기입니다. TPS가 높아질 때 최대 10개의 커넥션까지 생성하여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설정합니다.
- idle-timeout: 지정된 시간(밀리초) 동안 유휴 상태인 커넥션이 있을 경우 풀에서 제거합니다. 트래픽이 낮아질 때 자동으로 풀 크기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 connection-timeout: 커넥션을 얻기 위해 대기하는 최대 시간입니다. 이 시간 내에 커넥션을 확보하지 못하면 예외가 발생합니다.
- TPS가 낮은 경우: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유휴 상태이거나 트래픽이 적은 경우, HikariCP는 최소 커넥션(minimum-idle)만 유지하여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 TPS가 높아질 경우: TPS가 증가하여 커넥션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HikariCP는 최대 커넥션(maximum-pool-size)까지 확장하여 대량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트래픽을 소화할 수 있습니다.
- TPS가 다시 낮아지는 경우: TPS가 다시 낮아지면 HikariCP는
idle-timeout
에 따라 불필요한 커넥션을 풀에서 제거하고,minimum-idle
만 유지하여 리소스를 절약합니다.
이 케이스는 MySQL Connection Pool에서 minimum-idle
과 maximum-pool-size
를 동일하게 설정한 상황에서, TPS가 200대에 도달할 때 발생하는 성능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래프와 로그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TPS가 높아질 때, HikariCP의 커넥션 풀이 어떻게 반응하고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테스트는 minimum-idle: 10
과 maximum-pool-size: 10
설정을 사용해, 커넥션 풀의 확장성과 한계점을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며, TPS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션 풀이 최대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성능 지연과 요청 실패가 발생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다음 코드는 Spring Boot와 Kotlin 환경에서 설정된 컨트롤러와 서비스 로직입니다. 컨트롤러에서는 SampleService
의 getMember()
메서드를 호출하며, 이 메서드는 1~100 사이의 랜덤 ID로 Member
엔티티를 PK를 기반으로 조회한 후, 1초의 지연 시간을 둔 뒤 커넥션 풀의 현재 상태를 로깅합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
class SampleController(
private val SampleService: SampleService
) {
@GetMapping("/api/v1/members")
fun sample(): Member {
// 1 ~ 100 사이의 랜덤으로 member 조회
return SampleService.getMember()
}
}
@Service
class SampleService(
private val dataSource: DataSource,
private v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private val log = LoggerFactory.getLogger(javaClass)!!
@Transactional
fun getMember(): Member {
val findById = memberRepository.findById(Random.nextInt(1, 100).toLong()).get()
runBlocking { delay(1000) }
val targetDataSource = dataSource.unwrap(HikariDataSource::class.java)
val hikariDataSource = targetDataSource as HikariDataSource
val hikariPoolMXBean = hikariDataSource.hikariPoolMXBean
val hikariConfigMXBean = hikariDataSource.hikariConfigMXBean
val log =
"""
totalConnections : ${hikariPoolMXBean.totalConnections}
activeConnections : ${hikariPoolMXBean.activeConnections}
idleConnections : ${hikariPoolMXBean.idleConnections}
threadsAwaitingConnection : ${hikariPoolMXBean.threadsAwaitingConnection}
maxLifetime : ${hikariConfigMXBean.maxLifetime}
maximumPoolSize : ${hikariConfigMXBean.maximumPoolSize}
minimumIdle : ${hikariConfigMXBean.minimumIdle}
connectionTimeout : ${hikariConfigMXBean.connectionTimeout}
validationTimeout : ${hikariConfigMXBean.validationTimeout}
idleTimeout : ${hikariConfigMXBean.idleTimeout}
""".trimIndent()
this.log.info(log)
return findById
}
}
이 코드는 지연을 위해 1초 동안 대기한 후, HikariCP 커넥션 풀의 상태를 로깅하여 현재 커넥션 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합니다.
위 이미지는 커넥션 풀 설정이 minimum-idle: 10, maximum-pool-size: 10으로 설정된 상황에서, TPS가 증가함에 따라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각화한 결과입니다.
- Total Requests per Second:
- 이 그래프는 초당 요청 처리량(RPS, 초록색 라인)과 실패한 요청(Failures, 빨간색 라인)을 보여줍니다.
- TPS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초당 12 요청 수준에 도달했을 때, 실패한 요청이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커넥션 풀이 최대 용량인 10에 도달하여 더 이상 추가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이후 TPS는 유지되지만, 실패한 요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커넥션 풀의 제한에 따른 성능 저하가 명확히 드러납니다. 이후 TPS는 응답 지연으로 인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습니다.
- Response Times:
- 응답 시간 그래프에서는 50th 퍼센타일(주황색 라인)과 95th 퍼센타일(보라색 라인)의 응답 시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 특히 TPS가 증가함에 따라 95th 퍼센타일 응답 시간은 약 20,000ms 이상으로 치솟아, 사용자 요청이 큰 지연을 겪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이는 커넥션 풀이 가득 차서 새로운 요청이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며, 트래픽 증가와 함께 시스템의 성능 한계에 도달했음을 보여줍니다.
- Number of Users:
- 사용자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시스템에 부하를 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약 300명 이상일 때부터 시스템은 커넥션 풀이 한계에 도달하여, 그 이후로는 성능 저하가 본격적으로 발생합니다.
- 커넥션 풀 크기를 초과하는 사용자 요청은 실패하거나 긴 대기 시간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응답 시간 증가와 TPS 유지의 원인이 됩니다.
이 이미지에서는 커넥션 풀이 최대 용량에 도달함에 따라, 시스템이 추가적인 요청을 감당하지 못하고 지연 시간과 실패율이 증가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ctiveConnections: 10 - 현재 활성 상태인 모든 커넥션이 사용 중입니다.
- idleConnections: 0 - 유휴 상태의 커넥션은 없습니다.
- threadsAwaitingConnection: 84 - 84개의 스레드가 커넥션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maxLifetime: 1800000 (밀리초) - 커넥션의 최대 수명입니다.
- maximumPoolSize: 10 - 최대 커넥션 풀 크기가 1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minimumIdle: 10 - 최소 유휴 커넥션이 1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connectionTimeout: 30000 (밀리초) - 커넥션을 얻기 위해 대기할 수 있는 최대 시간입니다.
- validationTimeout: 5000 (밀리초) - 커넥션 유효성 검사를 위한 시간입니다.
- idleTimeout: 600000 (밀리초) - 유휴 커넥션을 유지하는 최대 시간입니다.
이 로그는 커넥션 풀이 한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 커넥션을 확장할 수 없고, 여러 스레드가 커넥션을 기다리면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커넥션 풀 크기 제한: 현재
maximum-pool-size
가 10으로 설정되어 있어 초당 12개 이상의 요청(TPS)을 처리하기에는 커넥션 풀 크기가 부족합니다. 모든 커넥션이 이미 사용 중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요청이 들어오면 커넥션을 기다리게 되고, 이로 인해 요청 실패가 발생하거나 응답 시간이 길어집니다. - 스레드 대기: 커넥션 풀이 최대 용량에 도달하면서
threadsAwaitingConnection
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커넥션을 얻지 못한 요청이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상황을 나타내며, TPS가 증가할 때 시스템이 추가 요청을 즉각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 connectionTimeout 설정: 현재
connectionTimeout
이 30000밀리초(30초)로 설정되어 있어, 커넥션을 기다리는 요청은 최대 30초까지 대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대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체 응답 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대기 중인 요청이 많아지면 TPS가 상승하기 어려워지고 응답 지연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TPS가 높아질수록 커넥션 풀의 제한으로 인해 전체적인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 maximum-pool-size 증가: 현재의 TPS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maximum-pool-size
값을 늘려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 이상으로 설정하여 커넥션 풀이 더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면, 요청 대기 시간과 실패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동적 커넥션 관리: HikariCP의 특성을 활용해
minimum-idle
과maximum-pool-size
를 적절히 조정하여 트래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TPS가 높아질 때는 커넥션 풀이 자동으로 확장되도록 하고, TPS가 감소할 때는 최소한의 커넥션만 유지해 리소스를 절약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모니터링 및 지속적인 튜닝: 커넥션 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트래픽 패턴에 맞게 적절히 튜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TPS와 응답 시간 변화를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maximum-pool-size
,connectionTimeout
등의 설정을 조정하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안들은 트래픽 변동에 따라 유연하게 커넥션 풀을 관리하고,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spring:
datasource:
hikari:
maximum-pool-size: 200 # 최대 커넥션 수
minimum-idle: 10 # 최소 유휴 커넥션 수
위와 같이 maximum-pool-size
를 200, minimum-idle
을 10으로 설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커넥션 풀이 충분히 확장 가능해지면서 시스템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주요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Total Requests per Second (RPS):
- RPS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높은 TPS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초당 요청 처리량이 약 150까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요청(Failures/s)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이는 커넥션 풀이 충분히 확장되어, 모든 요청이 처리되는 동안 커넥션 부족으로 인한 대기 시간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 Response Times:
- 응답 시간 그래프에서 50th 및 95th 퍼센타일 응답 시간이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95th 퍼센타일 응답 시간은 약 3,000ms 이하로, 50th 퍼센타일은 약 1,000ms 내외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는 고TPS 상황에서도 일관된 응답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이전 설정에서 발생했던 응답 시간의 급격한 증가가 해소되어, 사용자 경험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Failures/s 비율:
- 요청 실패율이 0으로 유지되었습니다.
maximum-pool-size
를 200으로 설정한 덕분에,connectionTimeout
으로 인해 대기 상태에서 실패하는 요청이 없었습니다. - 이로써 고TPS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졌으며, 대량의 동시 요청을 처리하는 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 요청 실패율이 0으로 유지되었습니다.
- totalConnections: 152 - 현재 총 152개의 커넥션이 생성되었습니다.
- activeConnections: 152 - 모든 커넥션이 활성 상태로 사용 중입니다.
- idleConnections: 0 - 유휴 상태의 커넥션은 없습니다.
- threadsAwaitingConnection: 48 - 48개의 스레드가 커넥션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maximumPoolSize: 200 - 최대 커넥션 풀 크기가 200으로 설정되었습니다.
- minimumIdle: 10 - 최소 유휴 커넥션이 10으로 설정되어 있어, 초기에 모든 커넥션이 생성된 상태입니다.
이 설정을 통해 커넥션 풀은 트래픽이 적을 때에는 최소한의 자원만 사용하고, 트래픽이 증가할 때에는 최대 200개의 커넥션까지 확장하여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로그에서 볼 수 있듯이 TPS가 높은 상황에서도 커넥션 풀이 충분히 확장되었고,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은 높은 TPS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일관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설정으로 TPS가 낮아진 상황에서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spring:
datasource:
hikari:
maximum-pool-size: 200 # 최대 커넥션 수
minimum-idle: 10 # 최소 유휴 커넥션 수
max-lifetime: 300000 # 커넥션이 유지될 최대 시간 (밀리초)
idle-timeout: 250000 # 유휴 커넥션이 유지될 최대 시간 (밀리초)
- max-lifetime: 기본값은 1800000ms (30분)입니다. 각 커넥션이 일정 시간 동안만 유지된 후 새 커넥션으로 교체되도록 하여, 오래된 커넥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합니다. 설정된 시간(예: 300,000ms = 5분) 이후에 커넥션은 제거되고 새로운 커넥션으로 대체됩니다.
- idle-timeout: 기본값은 600000ms (10분)입니다. 유휴 상태의 커넥션이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커넥션 풀에서 제거됩니다. 트래픽이 감소한 상황에서는 유휴 커넥션이 줄어들어 리소스가 절약됩니다. 위 설정에서는 250,000ms 동안 유휴 상태인 커넥션을 유지하고 이후에 해제하도록 설정했습니다.
- Total Requests per Second (RPS):
- TPS가 낮아지며, 초당 요청 처리량이 약 5 수준으로 안정화되었습니다.
- 요청 실패(Failures/s)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모든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이는 트래픽이 줄어들면서 커넥션 풀이 유휴 상태로 돌아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Response Times:
- 50th 및 95th 퍼센타일 응답 시간 모두 약 1,000ms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 응답 시간의 변동이 크지 않고 안정적인 수준을 보여, TPS가 낮아진 상황에서도 일관된 성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Number of Users:
- 테스트에서 사용자 수가 10명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TPS가 낮은 상태로 안정화되었습니다.
- totalConnections: 15 - 현재 총 15개의 커넥션이 생성되었습니다. 트래픽 감소에 따라 필요 없는 커넥션이 자동으로 해제되며, 풀 크기가 줄어든 상태입니다.
- activeConnections: 6 - 현재 활성 상태로 사용 중인 커넥션이 6개입니다.
- idleConnections: 9 - 최소 유휴 커넥션 설정(
minimumIdle
)이 10이므로, 트래픽이 줄어든 상황에서 9개의 유휴 커넥션이 유지됩니다. - threadsAwaitingConnection: 0 - 대기 중인 스레드가 없어 모든 요청이 즉시 처리되고 있습니다.
- maximumPoolSize: 200 - 최대 커넥션 풀 크기가 200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현재 트래픽 수준에서는 전체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적정 개수의 커넥션만 유지하고 있습니다.
- minimumIdle: 10 - 최소 유휴 커넥션 수가 10으로 설정되어, 트래픽이 적을 때도 최소한의 커넥션을 유지해 자원을 절약합니다.
- maxLifetime: 300000 (밀리초) - 각 커넥션이 5분(300초) 동안 유지된 후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오래된 커넥션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보장합니다.
- idleTimeout: 250000 (밀리초) - 유휴 상태의 커넥션이 4분 10초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풀에서 해제됩니다. 이를 통해 트래픽이 감소한 상황에서는 유휴 커넥션을 줄여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 테스트 결과는 TPS가 줄어들면 totalConnections
도 함께 감소하며 리소스가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minimum-idle
설정을 통해 커넥션 풀이 최소 10개의 유휴 커넥션을 유지하고, idleTimeout
이 설정된 시간 동안 유휴 상태인 커넥션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합니다. 또한 maxLifetime
설정으로 각 커넥션의 유지 시간을 제한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커넥션이 새롭게 갱신되도록 함으로써 오래된 커넥션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은 트래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으로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됩니다.
HikariCP를 사용한 커넥션 풀 설정은 트래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성능 최적화를 위해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적절한 maximum-pool-size
와 minimum-idle
설정을 통해 고TPS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일관된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트래픽 상황에서 성능을 최적화하며,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